야단법석 명리학 실무 대강 2권

명리학 책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2' (설진관 편저)

김초희 2023. 7. 9. 14:54

드디어 여러분들이 기다리던 부산 설진관 선생님의 명리학 도서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전 3권이 출간되었습니다.

 

著者 설진관(薛鎭觀)은 1969년 경남 밀양에서 출생하고 법학과 동양학을 전공한 동양학 박사이다. 현재는 在野 역학 연구가로서 명리학, 기문둔갑, 팔주법, 매화역수, 회화사주학, 진여비결, 사계단법, 하상역법, 사주심역, 추신론 등 연구하고 있습니다.

 

주요저술로는 법학분야로는 형벌법, 형사특별법, 경찰수사실무(사법연구원) 등 다수의 저술이 있고, 역학분야로는 진여비결해설(창조명리) 등 저술 및 야학신결(창조명리) 등 다수의 강의록 서적이 있습니다.

 

제 2권 표지 사진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2권

 
 

정가 35,000원

출판사 농협 351-08988343-73 (예금주 창조명리)

연락처 010-3823-8788

입금 후 택배주소 성명 전화번호를 문자주시면 됩니다.

 

판매처 부산 영광도서

교보문고, 영풍문고, 알라딘, yes24 등 전국 인터넷쇼핑몰

 

서평

명리학자 설진관 선생님이 최근 10년간에 대중에게 강의한 내용을 모두 정리하여 총 18강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명리학 실무가들을 위한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1.2.3권이 동시에 출간되었다.

야단법석(野壇法席)이라는 말은 법당 안에서 치를 수 없는 큰 규모의 법회를 위해 야외에 임시로 마련한 자리를 의미한다. 아마도 설진관 선생님이 장소의 구애됨이 없이 명리가들에게 강의한 것을 묶었기에 ‘야단법석’이라는 부제가 제법 어울리는 것 같다.

이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은 명리학도들에게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음양,오행의 명확한 메커니즘에서부터 격국론, 조후론, 용신론, 격국론, 조후론, 고급이론인 자연론 또는 물상론이라고 알려진 회화사주론의 실체, 사계단법 등 내정법, 십이지지의 중요한 인자론, 통변에 필요한 십이운성의 명확한 개념정리, 당면문제 풀이에 유용한 형충회합의 해법 등 일반 명리서에서 명리학 이론의 대부분을 다뤘기에 명리학 교재로서는 가장 많은 내용을 담았다는 평가이다.

 

2권에는 국내 통설인 격국론의 개념을 정리하면서 분류법을 모두 정리하고, 고전 자평진전에서 다루는 격국론을 짧은 시간에 독파할 수 있도록 정리하면서 사례까지 풍부하게 다루었다. 그리고 고전 명리학에서 가장 어렵다는 난강망 혹은 궁통보감이라고 알려진 조후론을 완전분석하여 더 이상의 개념서가 필요없을 정도로 명확히 요약하여 빠른 시간내에 조후론을 독파할 수 있도록 했고, 특히 국내에 물상론 또는 자연론이라고 알려진 회화사주론의 실체를 공개하여 누구나가 격국론, 조후론, 회화사주론을 모두 습득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이번에 발간된 설진관 선생님의 명리학 저술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 1.2.3권은 기본기에서부터 실무에 이르기까지 모든 명학도들에게는 평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이론 대부분을 담았기에 큰 반려자가 될 것이라는 사계의 평가이다.

 

 

 

목차

 

제8강 격국론 대요(格局論 大要) 33

 

제1편 格에 대한 小考 34

1. 격(格) 34

2. 격(格)을 定하는 법 34

3. 격(格)의 원칙 36

4. 격(格)의 3가지 시점(1, 2. 3인칭) 37

5. 격(格):어느 六神을 쓸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 40

 

제2편 格과 관점 44

1. 격(格)의 관점 44

2. 격(格)과 국(局) 44

3. 관점:사주를 보는 관점 45

 

제9강 격국론(格局論) 51

 

제1편 억부용신론(抑扶用神論) 52

 

제1장 신강과 신약 52

제1절 신강, 신약의 조건 52

제2절 신강, 신약의 기준 53

제2장 억부용신 53

제1절 일주가 신강일 때 반드시 인수, 비겁이 旺하다 53

제2절 일주가 신약일 때 반드시 식상, 재성, 관성이 旺하다 54

 

제2편 격국론(格局論) 56

제1장 정격(正格)을 정하는 법 56

제1절 건록격(建祿格) 57

제2절 양인격(羊刃格) 58

제3절 인수격(印綬格) 59

제4절 식신격(食神格) 60

제5절 상관격(傷官格) 61

제6절 정재격(正財格) 62

제7절 편재격(偏財格) 63

제8절 정관격(正官格) 64

제9절 편관격(偏官格) 65

 

제2장 외격(外格)을 정하는 법 66

 

제1절 종왕·강격(從旺·强格) 66

1. 종왕격(從旺格) 66

2. 종강격(從强格) 67

3. 종왕·강격(從旺·强格)의 희기 68

 

제2절 종약격(從弱格) 68

1. 종관살격(從官殺格) 69

2. 종재격(從財格) 69

3. 종아격(從兒格) 70

4. 종약격(從弱格)의 희기 70

 

제3절 종화격(從化格) 71

1. 종화격(從化格)의 희기 73

 

제4절 가종격(假從格) 73

 

제3장 특수격(特殊格) 74

 

제3편 주요 개념 정리 85

 

제10강 자평진전(子平眞詮) 완결 91

 

제1편 자평진전(子平眞詮)의 목적 92

1. 자평진전을 공부하는 목적 92

2. 역학(易學)과 역술(易術) 92

3. 건물과 사주(四柱) 92

4. 통변을 위한 자평진전 개론 93

 

제2편 자평진전 개요 99

1. 자평진전이란 99

2. 자평진전을 왜 알아야 하나 99

3. 억부용신 관법과 자평진전 관법의 차이 99

4. 자평진전 학습 시 주의점 100

 

제3편 용신(用神)과 격(格) 101

1. 八字의 用神은 오로지 월령(月令)에서 구한다 101

2. 用神이 곧 格이다 103

3. 월령에 用神이 없을 때도 있다 105

예-1 月令 본기가 辛 比肩이다 105

예-2 月令 본기가 庚 比肩이다 106

예-3 建祿格 → 正官 透出 → 正官格 106

예-4 建祿格 → 木三合局 → 食神格 107

문의 : 戌은 丙의 根이 되는가? 110

■천간의 글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113

■地支 위치에 따라 통변도 달라진다 114

■因緣法에 따라 달라진다 114

 

제4편 용신(用神)의 변화 118

1. 用神의 변화 118

예-1 會合에 의한 변화 118

예-2 透干에 의한 변화 120

2. 월령에서 무엇이 透出 되는가? 122

예-1 같은 五行이라도 陰陽이 다를 경우 透出로 보지 않는다 122

 

제5편 格의 성패(成敗) 125

1. 길신격(吉神格)과 흉신격(凶神格) 125

2. 성격(成格)과 파격(破格) 127

3. 성격(成格)의 조건 - 吉神格 順用 129

예-1 吉神格이 吉神의 도움을 받아 成格이 됨 129

예-2 吉神格이 凶神의 도움을 받아 成格이 됨 129

4. 길신 성격(吉神 成格) 130

5. 길신 패격(吉神 敗格) 139

6. 흉신 성격(凶神 成格) 142

7. 성격(成格)의 조건 - 凶神格 역용(剋泄無) 143

예-1 凶神格인데 剋을 당하여 成格이 됨 143

8. 흉신 패격(凶神 敗格) 149

 

제6편 格의 성패(成敗) 종합정리 153

 

제7편 格의 변화 156

1. 格의 成敗 변화 156

2. 格의 좋은 변화 156

궁금점:會合이 되면 局으로 변하는가? 157

3. 格의 나쁜 변화 159

4. 格의 불변화 159

5. 用神의 순잡(順雜) 160

 

제8편 강약(强弱)과 선후(先後) 161

1. 日干의 强弱도 중요하다 161

2. 生剋의 先後에 따라 吉凶이 달라진다 165

 

제9편 격(格)과 운(運) 166

1. 사주 格의 成敗는 運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166

2. 天干運은 天干에만, 地支運은 地支에만 영향을 미친다 166

 

제10편 자평진전 압축 169

1. 사주 분석 순서 169

2. 格을 정하는 순서 169

3. 용어(用語) 주의 169

※雜氣格 172

4. 격 용신법(格 用神法)과 억부용신법(抑扶用神法)의 차이 173

5. 運을 보는 법 174

6. 자평진전의 중요 개념 174

7. 자평진전 책을 볼 때 주의점 175

8. 사주 관법의 큰 틀 175

 

제11편 격국 통변 실제 사례 176

1. 사례 – 1 (자신의 길을 찾지 못해 방황할 사주) 176

2. 사례 - 2 (공부에서 손을 놨네요) 183

3. 사례 - 3 (뒤통수 치는 남편을 굴복시키는 사주) 188

4. 사례 – 4 (자녀 진로 상담) 193

5. 사례 – 5 (나이 들어 늦공부) 194

6. 사례 – 6 (공부에 인연이 없지만 인기를 먹고살 팔자) 195

7. 사례 – 7 (공주가 산속에서 홀로 거울 보며 돈을 센다) 195

8. 사례 – 8 (사막 한가운데 길 잃은 신세라) 196

9. 사례 – 9 (공무원이 상관견관운보다 정관운이 더 힘든 이유는?)196

10. 사례 – 10 (간호사가 된 베트남 새댁) 197

11. 사례 – 11 (황무지에 새싹이 돋는다) 198

12. 사례 – 12 (그런 게 나와요?) 198

13. 사례 – 13 (직업 관련 두 사례) 199

14. 사례 – 14 (30대 때 힘들었다) 200

15. 사례 – 15 (폭풍우 치는 바다를 홀로 비추는 등대) 201

16. 사례 – 16 (여린 화초가 폭풍을 만났다) 201

 

제12편 격국 종합 통변 사례 202

1. 격국 종합 통변 사례 - 1 202

2. 격국 종합 통변 사례 - 2 211

질문:亥卯合으로 亥가 木으로 변하여 영향을 끼치는가? 215

 

제11강 조후(調候) 225

 

제1편 절기가단(節氣歌斷) 226

1. 寅月 226

2. 卯月 226

3. 辰月 226

4. 巳月 226

5. 午月 227

6. 未月 227

7. 申月 227

8. 酉月 227

9. 戌月 228

10. 亥月 228

11. 子月 228

12. 丑月 228

 

제2편 일주(日主)의 조후론(調候論) 229

 

제1장 甲木 일주의 조후론 229

1. 寅月의 甲日 229

2. 卯月의 甲日 229

3. 辰月의 甲日 230

4. 巳月의 甲日 230

5. 午月의 甲日 231

6. 未月의 甲日 231

7. 申月의 甲日 232

8. 酉月의 甲日 232

9. 戌月의 甲日 233

10. 亥月의 甲日 233

11. 子月의 甲日 233

12. 丑月의 甲日 234

 

제2장 乙木 일주의 조후론 235

1. 寅月의 乙日 235

2. 卯月의 乙日 235

3. 辰月의 乙日 235

5. 午月의 乙日 236

6. 未月의 乙日 236

7. 申月의 乙日 237

8. 酉月의 乙日 237

9. 戌月의 乙日 237

10. 亥月의 乙日 238

11. 子月의 乙日 238

12. 丑月의 乙日 238

 

제3장 丙火 일주의 조후론 23

1. 寅月의 丙日 239

2. 卯月의 丙日 239

3. 辰月의 丙日 239

4. 巳月의 丙日 240

5. 午月의 丙日 240

6. 未月의 丙日 240

7. 申月의 丙日 241

8. 酉月의 丙日 241

9. 戌月의 丙日 241

10. 亥月의 丙日 242

11. 子月의 丙日 242

12. 丑月의 丙日 242

 

제4장 丁火 일주의 조후론 243

1. 寅月의 丁日 243

2. 卯月의 丁日 243

3. 辰月의 丁日 243

4. 巳月의 丁日 244

5. 午月의 丁日 244

6. 未月의 丁日 244

7. 申月의 丁日 244

8. 酉月의 丁日 245

9. 戌月의 丁日 245

10. 亥月의 丁日 245

11. 子月의 丁日 246

12. 丑月의 丁日 246

 

제5장 戊土 일주의 조후론 247

1. 寅月의 戊日 247

2. 卯月의 戊日 247

3. 辰月의 戊日 247

4. 巳月의 戊日 248

5. 午月의 戊日 248

6. 未月의 戊日 248

7. 申月의 戊日 249

8. 酉月의 戊日 249

9. 戌月의 戊日 250

10. 亥月의 戊日 250

11. 子月의 戊日 250

12. 丑月의 戊日 251

 

제 6장 己土 일주의 조후론 252

1. 寅月의 己日 252

2. 卯月의 己日 252

3. 辰月의 己日 252

4. 巳月의 己日 253

5. 午月의 己日 253

6. 未月의 己日 253

7. 申月의 己日 254

8. 酉月의 己日 254

9. 戌月의 己日 254

10. 亥月의 己日 255

11. 子月의 己日 255

12. 丑月의 己日 255

 

제7장 庚金 일주의 조후론 256

1. 寅月의 庚日 256

2. 卯月의 庚日 256

3. 辰月의 庚日 256

4. 巳月의 庚日 257

5. 午月의 庚日 257

6. 未月의 庚日 257

7. 申月의 庚日 258

8. 酉月의 庚日 258

9. 戌月의 庚日 258

10. 亥月의 庚日 259

11. 子月의 庚日 259

12. 丑月의 庚日 259

 

제8장 辛金 일주의 조후론 260

1. 寅月의 辛日 260

2. 卯月의 辛日 260

3. 辰月의 辛日 260

4. 巳月의 辛日 260

5. 午月의 辛日 261

6. 未月의 辛日 261

7. 申月의 辛日 261

8. 酉月의 辛日 262

9. 戌月의 辛日 262

10. 亥月의 辛日 263

11. 子月의 辛日 263

12. 丑月의 辛日 263

 

제9장 壬水 일주의 조후론 264

1. 寅月의 壬日 264

2. 卯月의 壬日 264

3. 辰月의 壬日 264

4. 巳月의 壬日 265

5. 午月의 壬日 265

6. 未月의 壬日 266

7. 申月의 壬日 266

8. 酉月의 壬日 266

10. 亥月의 壬日 267

11. 子月의 壬日 267

12. 丑月의 壬日 268

 

제10장 癸水 일주의 조후론 269

1. 寅月의 癸日 269

2. 卯月의 癸日 269

3. 辰月의 癸日 269

4. 巳月의 癸日 270

5. 午月의 癸日 270

6. 未月의 癸日 270

7. 申月의 癸日 270

8. 酉月의 癸日 271

9. 戌月의 癸日 271

10. 亥月의 癸日 271

11. 子月의 癸日 272

12. 丑月의 癸日 272

 

제3편 조후(調候)와 통변(通辯) 274

 

1. 통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日干이다 274

2. 十干과 十二支의 만남 275

3. 자연에 투영된 十干과 十二支 278

 

제4편 춘하추동(春夏秋冬) 282

 

제1장 봄 – 봄이라는 것을 보면 꽃이 핀다 282

 

제2장 여름 – 여름 7월은 덥다 더워 시원한 물이 좋다 285

 

제3장 가을 – 단풍 들고, 성장이 멈추는 만물은 수렴의 시기 287

 

제4장 겨울 – 만물이 꽁꽁 얼어 있어 태양과 장작불이 필요하다. 290

 

제5편 조후의 활용과 예시 293

1. 조후 예시 293

2. 조후 활용 사례 - 1 301

3. 조후 활용 사례 - 2 303

4. 조후 활용 사례 - 3 304

5. 조후 활용 사례 - 4 305

6. 조후로 정리하여 설명 308

 

제12강 회화 사주학 319

 

회화 사주학 十干 관계론 320

1. 甲論 320

甲 + 甲 320

甲 + 乙 321

甲 + 丙 321

甲 + 丁 323

甲 + 戊 323

甲 + 己 324

甲 + 庚 324

甲 + 辛 325

甲 + 壬 325

甲 + 癸 326

 

2. 乙論 329

乙 + 甲 329

乙 + 乙 329

乙 + 丙 329

乙 + 丁 330

乙 + 戊 330

乙 + 己 331

乙 + 庚 331

乙 + 辛 331

乙 + 壬 332

乙 + 癸 332

 

3. 丙論 봄, 여름 旺盛하다 336

丙 + 甲 336

丙 + 乙 336

丙 + 丙 336

丙 + 丁 337

丙 + 戊 337

丙 + 己 337

丙 + 庚 338

丙 + 辛 338

丙 + 壬 339

丙 + 癸 339

 

4. 丁論 341

丁 + 甲 341

丁 + 乙 341

丁 + 丙 341

丁 + 丁 341

丁 + 戊 342

丁 + 己 343

丁 + 庚 343

丁 + 辛 344

丁 + 壬 344

丁 + 癸 345

 

5. 戊論 346

戊 + 甲 346

戊 + 乙 346

戊 + 丙 347

戊 + 丁 348

戊 + 戊 349

戊 + 己 349

戊 + 庚 349

戊 + 辛 350

戊 + 壬 350

戊 + 癸 350

 

6. 己論 353

己 + 甲 353

己 + 乙 354

己 + 丙 354

己 + 丁 354

己 + 戊 355

己 + 己 355

己 + 庚 356

己 + 辛 357

己 + 壬 358

己 + 癸 358

 

7. 庚論 366

庚 + 甲 366

庚 + 乙 366

庚 + 丙 366

庚 + 丁 367

庚 + 戊 367

庚 + 己 368

庚 + 庚 368

庚 + 辛 369

庚 + 壬 369

庚 + 癸 370

 

8. 辛論 377

辛 + 甲 377

辛 + 乙 377

辛 + 丙 378

辛 + 丁 379

辛 + 戊 380

辛 + 己 381

辛 + 庚 382

辛 + 辛 382

辛 + 壬 383

辛 + 癸 383

 

9. 壬論 388

壬 + 甲 388

壬 + 乙 388

壬 + 丙 388

壬 + 丁 389

壬 + 戊 389

壬 + 己 389

壬 + 庚 390

壬 + 辛 390

壬 + 壬 391

壬 + 癸 391

 

10. 癸論 394

癸 + 甲 394

癸 + 乙 394

癸 + 丙 395

癸 + 丁 395

癸 + 戊 396

癸 + 己 397

癸 + 庚 397

癸 + 辛 398

癸 + 壬 398

癸 + 癸 398

 

사례 – 1 辛 - 壬 402

사례 – 2 辛 - 壬 402

사례 – 3 丁 – 庚 403

六神 – 회화론 405

스토리 전개(十干關係) 405

사례 – 4 戊- 丙, 甲, 己 406

회화 四柱學(十干 關係論) 411

 

참고문헌 420